▲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6G 후보주파수 대역에 대한 전자파 측정표준을 개발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전자파측정기반팀 강태원 책임연구원, 구현지 선임연구원, 정우현 선임연구원, 조치현 팀장, 권재용 전자파표준그룹장

[기계신문] 6G는 5G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019년 6G의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연구개발에 8년간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5G가 초고속 및 IoT 통신에 집중한 반면, 6G에서는 인공지능(AI)과 위성통신 기술이 활발히 쓰일 예정이며, 초고속, 초저지연, 초신뢰성뿐만 아니라 에너지 최적화, 높은 커버리지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첨단기술 개발에는 관련 표준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6G 후보주파수로 거론되는 서브테라헤르츠(Sub-THz)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 측정표준이 미비해 기술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힘든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6G 후보주파수 대역에 대한 전자파 측정표준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표준은 6G 후보주파수로 유력한 D대역(110~170 GHz, 기가헤르츠)의 전자파 임피던스 측정표준이다.

이때 임피던스(Impedance)는 전자파가 진행될 때 받는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자파 측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값을 의미한다. 전자파 측정표준 중 가장 필수적인 표준으로, 통신, 국방 등 전자파가 사용되는 분야에서 성능평가의 기준 역할을 한다.

▲ 전자파 임피던스 측정표준 시스템. 임피던스 측정표준 확립을 위해 KRISS에서 개발한 측정표준 시스템으로, 정밀 온도조절부, 자세제어부, 케이블 움직임 보상부 등을 갖췄다.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면 매우 작은 불확도로 정밀하게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6G에 사용될 주파수 대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대체로 주파수 대역이 올라갈수록 넓은 통신 대역폭을 쓸 수 있어 대용량 데이터의 빠른 전송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왕복 2차선보다는 16차선 도로에서 더 많은 교통량을 소화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고주파수 대역 중 서브테라헤르츠(Sub-THz)에 해당하는 D대역 주파수는 수증기나 산소에 의한 손실이 적고 넓은 대역폭으로 많은 양의 신호를 멀리까지 일정하게 보낼 수 있어 6G 후보주파수로 주목받고 있다. 서브테라헤르츠는 100~300 GHz의 주파수 범위로, 1초에 1 TB(테라바이트) 전송을 가능하게 할 6G의 후보주파수로 각광받고 있다.

KRISS 전자파측정기반팀은 일본, 독일에 이어 D대역의 전자파 임피던스 측정표준을 세계 세 번째로 확립하고 독일과의 상호비교를 통해 국제적 동등성도 확보했다. 110 GHz 이상의 임피던스 측정표준에 대해 국제 상호비교가 진행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

5G 통신의 주된 주파수 대역은 30 GHz 이하로, 지금까지 확립된 전자파 측정표준은 110 GHz 이하의 주파수에 국한됐다. D대역 이상에서 사용 가능한 6G 관련 소자나 부품을 개발하더라도 성능평가에 사용할 기준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번 표준 개발로 다양한 6G 관련 소자, 부품 등의 성능을 높은 신뢰도로 검증할 수 있게 됐으며, 6G뿐 아니라 국방용 레이더 등 D대역 주파수에서 전자파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 KRISS 조치현 전자파측정기반팀장(앞)과 권재용 전자파표준그룹장(뒤)이 전자파 임피던스 측정표준 시스템을 이용해 6G소자의 특성을 평가하고 있다.

KRISS는 이번에 개발한 전자파 표준을 산업현장에 보급하기 위한 D대역 임피던스 교정장비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그간 임피던스 측정에 사용하는 회로망 분석기는 고가의 외산 교정장비로 교정해야 했지만, 이번 국산화를 통해 대폭 절감된 비용으로 더욱 정밀한 측정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조치현 KRISS 전자파측정기반팀장은 “이번 표준 개발과 교정장비 국산화는 국내 6G 기술에 대한 국제적 신뢰성을 확보할 발판”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압, 전력, 안테나 등 전자파 측정표준을 추가로 확립하고, 6G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300 GHz 대역까지 후속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후속 연구는 해외에서도 미개척된 분야로, 독일, 미국 등 기술 선도국에서 협력 제안을 받은 상태다. KRISS는 LG전자, KAIST 등과 산·학·연 협력을 통해 한국의 6G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KRISS 기본사업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측정분야 국제학술지 ‘IEEE Transaction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에 7월 게재됐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