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화장품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미용 효능 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도 관련 시장에 적극 진출해 시장을 선점해야 할 때이다.

[기계신문]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19일 발간한 ‘중국 미용식품 시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에서 피부기능 개선, 노화예방 등 효과를 지닌 미용식품 관련 시장 규모가 2016년 90억 위안에서 2020년 164억 위안, 2023년에는 238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는 주로 미백, 노화방지, 보습, 탈모예방 기능식품 소비가 많았다. 특히 중국은 하얀 피부색이 미인의 상징으로 인식돼 전체 미용식품 구매자들 중 47%가 미백 기능식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지우우허우(95~99년생) 소비층이 미백 기능식품을 구매하며 제품 구매 시에는 비타민C 성분 포함 여부를 중요시했다.

▲ 중국의 미용식품 시장규모(단위 : 억 위안) *자료 : 중국 중상산업연구원

노화방지 기능식품의 경우 빠링허우(80~89년생) 및 지우링허우(90~99년생) 세대가 소비의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식물성 화학물질 성분을 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습 기능식품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인기가 좋으며 콜라겐 성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탈모예방 기능식품 시장은 아직까진 작은 편이나, 중국인 6명 중 1명은 탈모 증상을 겪고 있는 데다 전체 탈모인 중 41.9%가 26~30세의 젊은 연령층으로 관련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 기능별 미용식품 주요 특징

중국 영양학회 및 의사협회가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개선 가능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미용제품 사용’이 10,692명, ‘미용식품 섭취’가 9,582명으로 미용식품을 꾸준히 섭취하기만 해도 피부 질환 개선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다만 일반 화장품과 다르게 복용해야 하는 만큼 구매 시 성분 및 품질을 중요시하며 가격은 우선 고려요소가 아니었다.

▲ 중국 진출 주요 해외 미용식품 브랜드

한국무역협회 심준석 상하이지부장은 “현재 중국에서 호주, 미국 등 해외제품의 수요는 많은데 한국 브랜드는 많지 않아 우리 기업들이 화장품뿐만 아니라 미용식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면서 “미용식품이 보건식품으로 분류돼 수출 시 ‘보건식품판매허가증서’를 우선 취득해야 하며 현지 마케팅 시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광고법」에 준수해 검증되지 않은 효능, 타 제품과의 비교, 질병 개선 보장 등의 문구는 사용이 불가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