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그간 추진해온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의 사업화 성과를 점검, 공유했다. 사진은 부산시에 구축된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조감도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그간 추진해온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의 사업화 성과를 점검하고, 「K-반도체 전략」의 후속과제로 추진되는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추진 중인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2017년부터 실리콘 및 화합물(SiC, GaN) 소재 전력 반도체의 선제적 기반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총 836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 2019년에는 동 사업을 통해 부산대학교 및 기장군 의·과학산단에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유일의 6인치 SiC 파운드리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추진 5년차를 맞아 진행된 이번 성과 점검에서는 참여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누적(2019~2021.5월) 매출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되었음을 확인했다.

대표적으로 A사는 IoT 디바이스용 고효율 배터리 관리 반도체를 개발하여 누적 210억 원의 매출을 창출하였으며, B사는 자동차 조향에 활용되는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여 완성차 업체 납품을 통해 누적 약 80억 원의 매출 성과를 확보했다.

이 외에도 여러 참여기업들은 화합물 반도체 등 차세대 전력 반도체 분야에서 매출을 창출하였으며, 정부의 선제적 지원을 바탕으로 초기 시장인 화합물 반도체에서 지속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선도기업 수준의 1,200V급/1,700V급 Trench형 SiC MOSFET을 개발하는 등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도 국내 기업의 성장 기반을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SiC 관련 대규모 투자 유치 ▶SiC 반도채·모듈 적용 확대 ▶GaN 공정기술 확보 등 화합물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본격적인 성장 생태계가 마련되고 있다.

정부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분야의 성장 모멘텀 지속을 위해 지난 4월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 방안」을 수립하였으며, 5월에는 「K-반도체 전략」에서 차세대 전력 반도체 육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 확보를 위해 2022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원 분야는 ▶상용화 제품 개발을 위한 수요연계 및 시제품 제작 ▶신소재 응용 및 반도체 설계·검증 등 기반기술 강화 ▶미래 양산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제조 공정 확보 등이다.

아울러 수요-공급기업 연계 및 공동개발, 국내 제조 인프라 확충 등 화합물 반도체 분야의 제조 강국 도약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은 “지난 5년간 민·관이 합심하여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에 노력한 끝에 국내 화합물 반도체 성장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서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화합물 기반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