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로 프로필렌 산화시키는 산업계 난제 해결

▲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화학과 주상훈 교수팀이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인 산화프로필렌을 합성하는 ‘3종 촉매 융합 시스템’을 개발했다. (왼쪽부터) 고묘화 연구원, 곽자훈 교수, 장지욱 교수

[기계신문] 햇빛과 산소를 이용해 자동차 내장재나 화장품의 원료를 합성하는 촉매 시스템이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화학과 주상훈 교수팀이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인 산화프로필렌을 합성하는 ‘3종 촉매 융합 시스템’을 개발했다.

3종류 촉매가 연속적으로 반응해 프로필렌을 산화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기존에 프로필렌을 산화시키는 화학공정은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시스템은 유해물질 배출 없이 태양광 에너지와 산소만으로 산화프로필렌을 만들 수 있다.

산화프로필렌은 자동차 내장재나 화장품·의약품의 기초 원료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석유화학 원료다. 원유 납사에서 프로필렌을 얻은 뒤 이를 산화시켜 합성하는데, 가장 값싸고 친환경적인 산화제인 산소와는 원하는대로 반응하지 않아 유해물질인 염소를 써 생산해 왔다.

최근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염소 대신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쓰는 공법이 상용화됐지만, 과산화수소 생산 공정 자체는 여전히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과산화수소까지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과산화수소 공급이 가능해 생산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 수송과 저장에 필요한 비용도 줄어든다. 고농도 과산화수소가 시간이 지날수록 분해돼 버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 시스템 개발을 위해 3종류 촉매의 반응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쓰였다. 시스템 내의 광촉매는 물 속에서 햇빛을 받아 전기(전자)를 생산하고, 전기화학 촉매는 이 전기를 이용해 산소를 환원시켜 과산화수소를 만든다. 마지막으로 과산화수소가 불균일촉매의 도움을 받아 프로필렌과 반응하면 산화프로필렌이 합성된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94%의 효율로 산화프로필렌을 생산할 수 있었다.

▲ 광촉매, 전기촉매, 불균일촉매 융합 시스템의 산화프로필렌 생산법

장지욱 교수는 “추가적인 외부전압과 값비싼 화합물 없이 태양광으로 작동하는 산화프로필렌 합성 시스템을 최초로 선보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광촉매 성능을 더 개선한다면 상업적으로도 더 큰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곽자훈 교수는 “가장 풍부하고 값싼 산소를 사용해 산화프로필렌을 합성하는 촉매 기술은 석유화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였다”면서 “그만큼 산업적으로도 파급력이 큰 연구”라고 강조했다.

주상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산화프로필렌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합물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광전기화학 기술의 잠재력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기존 산화프로필렌 제조기술은 값싼 산화제인 산소를 이용하지 못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광촉매, 전기촉매, 불균일촉매의 융합으로 중간생성물인 과산화수소를 공급함으로써 태양에너지와 산소, 프로필렌으로부터 산화프로필렌을 생산할 수 있는 합성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제조과정을 매우 단순화할 수 있으며, 값싼 산소만을 이용하여 경제적 이윤을 높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증가하는 세계 산화프로필렌 수요와 더불어 기존 상용 산화프로필렌 생산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고묘화 UNIST 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 김용선 UNIST 박사, 우진우 UNIST 박사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으며, 연구 성과는 촉매 분야 연구의 최고 권위지인 ‘네이쳐 카탈리시스(Nature Catalysis)’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정식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선도연구센터사업(SRC)’ 그리고 포스코사이언스펠로쉽 과제 등의 지원 받아 이뤄졌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