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가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인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에서 총 14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일자리 2,088개를 목표로 이달부터 본격 추진한다.

[기계신문] 경상북도가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인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에서 국비 110억 원 포함, 총 14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일자리 2,088개를 목표로 이달부터 본격 추진한다.

경북도는 지역 산업구조 변화 및 주력산업의 구조조정 등에 대응해 지역의 다양한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해 일자리 창출 및 질 개선을 도모하는 종합적인 일자리 사업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와 지역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먼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은 전자산업의 침체와 대기업 이전 등 일자리가 감소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미, 김천, 칠곡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작해 2024년까지 527억 원 사업비로 스마트 산단, 전자산업 고도화, 혁신클러스터 등 지역산업과 연계한 7,800여 개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는 대기업 의존 위주인 기업의 구조적 한계 극복을 위한 패키지 형태의 지원과 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경력경로 고용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자산업 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고도화 및 경영역량 강화, 위기 근로자 맞춤형 전직지원서비스, 사람 중심 일자리를 위한 통합플랫폼 구축 등 3개 프로젝트 10개 사업을 추진한다.

또, 고숙련 퇴직 기술 인력 활용, 연구개발 청년 연구개발(R&D) 인재 양성,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한 분석 전문 인력 양성, 마케팅 역량 강화, 경영컨설팅 및 맞춤형 기업지원 등을 통해 위기 산업의 新경쟁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진한다.

전자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위기 근로자에게는 신산업 분야 전직을 위한 일자리 재설계, 인력수급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 취업 연계를 동시에 추진하고 기술창업을 지원해 새로운 시장 선점과 지속적인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경북 위기근로자 지원센터를 4월말 구미에 개소해 지역 내 근로자들의 접수-발굴-지원 등 원스톱 고용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고, 노동단체, 사업주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지역 노동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사람 중심의 일자리 통합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역혁신 프로젝트는 지역별 산업 분석과 자원 특성을 고용에 융합한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창출 전략’을 수립하고, 제조업 주요 거점지역 중심으로 4개의 생활경제권으로 나눠 추진한다. 이는 인구소멸에 대응한 일자리 창출, 제조업과 대학 등 지역자산을 활용한 청년 유출 억제 등 지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별·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일자리 사업이다.

안동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고령화로 인한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으로써 농식품·바이오와 같은 기반 산업 육성을 통한 안정적 일자리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개발(R&D) 인력 양성으로 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와 지역 워킹홀리데이와 연계한 인력수급을 통해 청년의 지역 유입을 유도한다.

경산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은 자동차부품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서 미래차 전환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으로 상생형 지역 일자리와 연계한 미래자동차 일자리 성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포항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은 철강산업의 지속적 비중 감소에 대응해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이차전지와 소재산업으로의 전환 유도와 기술 역량을 강화할 신산업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농번기 농촌의 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도시의 유휴인력을 농촌에 매칭하는 도농상생 일자리 채움 사업을 새로이 기획했다. 시범적으로 청송, 상주, 문경 3개 지역을 대상으로 1만 명의 인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지난 2년간 4,448개 일자리를 창출했다. 2020년, 2021년 2년 연속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평가 전국 1위, 2020년 지역혁신프로젝트 평가 전국 1위, 2021년 전국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최우수사업으로 ‘경북 청년인재스쿨’을 통한 취업연계서비스가 선정되는 등 매년 뚜렷한 성과를 보여왔다.

이영석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 “지역 현장의 목소리와 산업 특성에 맞게 구상된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도민에게 따스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청년들에게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