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현황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가 아산 테크노밸리 등 7개 지역을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신규 지정하고, 울산 조선해양산업특화단지 등 12개 단지를 2022년 특화단지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깨끗하고 안전하며, 경쟁력 있는 뿌리일터 조성을 목적으로 「뿌리산업진흥과첨단화에관한법률」 제20조에 따라 10개 이상 뿌리기업이 집적한 지역을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해왔다.

▲ 뿌리산업 특화단지 신규지정 (7개)

2013년 4개 단지를 지정한 이후 매년 4~5개 단지를 추가해 왔으며, 올해는 예년 대비 2배 수준인 7개 단지를 신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뿌리산업 특화단지는 기존 38개에서 전국 45개로 늘어났으며, 제도 도입 10년만에 특화단지 수는 11배, 입주기업은 5배 증가했다.

▲ 연도별 특화단지 지정 현황 (2022년 기준, 개)

이러한 양적성장과 함께 올해에는 뿌리산업 특화단지 범위확대 등 질적고도화를 추진하였다. 먼저, 차세대 공정 특화단지를 첫 지정하였다. 이는 뿌리산업 범위를 기존 6대 공정기술에서 14대 공정기술로 확대한 뿌리산업법 개정(2021.12) 후속조치이며, 8대 차세대 공정 중 적층제조(강릉), 정밀가공(대전) 분야 특화단지를 첫 지정하였다.

▲ 뿌리산업 범위 확대 전후

또, 도심형 특화단지를 처음으로 지정하였다. 그간 뿌리기업은 교통·주거여건 등 제반 인프라가 불충분한 교외 지역에 주로 위치하여 인력 확보 등 경영 애로가 많았다. 대전광역시는 정밀가공·금형·엔지니어링 설계 등 고부가가치 분야의 일하기 좋은 우량 뿌리기업 25개를 평촌지구에 유치하여, 도심형 특화단지 성공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강원·충남·대전 지역에 첫 뿌리산업 특화단지가 조성된다. 올해 3개 지역이 참여함에 따라 뿌리산업 특화단지 사업은 도입 10년만에 전국적 확산기반을 마련하였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2013년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중 우수단지를 지정하여 공동시설 구축 및 혁신활동을 지원해왔다. 그간 총 68개 과제를 지원해 왔으며, 올해는 울산 방어진 조선해양 특화단지 등 선도형 2개, 영암삼호 뿌리산업 특화단지 등 일반형 10개 등 12개 단지를 지원대상으로 선정, 총 139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동 지원사업은 폐수처리설비를 중심으로 설치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왔으나, 올해는 대중소 상생형, 청년친화형, 물류효율화형 등 다양한 혁신활동을 집중지원하는 방식으로 고도화하여, 뿌리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사업 (12개)

우선, 대중소 상생형은 울산 방어진 조선해양 특화단지를 선정하였다. 최근 조선산업 용접인력 공급부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수요기업인 현대중공업이 교육관 시설을 출자하고, 정부와 지자체·뿌리기업이 매칭으로 VR·AR 등 첨단설비를 구축하여 2024년까지 2천명의 용접기술인력을 양성한다.

청년친화형으로는 대구 표면처리 특화단지를 선정하였다. 표면처리업종은 근로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하여 청년인력 확보가 쉽지 않았다. 대구시와 대구표면처리협동조합은 식당, 교육장, 연구실 등 공동편의시설 설치 등을 추진하여, 청년들이 깨끗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표면처리 청년친화 선도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 울산 방어진 조선해양 뿌리산업 특화단지 현대중공업-뿌리기업의 상생을 위해 맞춤형 인력 양성을 위한 뿌리 교육관, VR 교육장비 및 근로자 편의시설 구축(

또, 물류효율화형으로 광주 금형 특화단지를 선정하였다. 최근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뿌리기업 경영여건이 쉽지 않은 가운데 광주지역 금형업계가 밀크런 방식으로 원부자재를 공동 조달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기존 시범사업 성과를 토대로 밀크런 대상품목(3→7개)과 지역(스웨덴→중국, 일본 등 3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공동브랜드 조성(익산주얼리), 편의시설 개선(영암삼호), 공동마케팅(구미, 순천, 부산친환경차) 등 다양한 혁신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며,기존에 주력해왔던 표면처리업계 공동폐수처리시설(부산청정도금, 안산도금, 부산녹산) 지원도 계속해 나간다.

산업통상자원부 이경호 소재부품장비협력관은 “뿌리산업이 노동집약적 저부가가치 산업에서 벗어나 미래형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차세대 공정 중심으로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지속 확대해 나가는 한편, 초광역연계형, 서비스연계형, 에너지절감형 등 뿌리산업의 당면과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혁신활동을 집중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