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장기화로 플라스틱 폐기물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생분해하는 기술개발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기계신문] 코로나19 이후 일회용 마스크, 위생장갑, 배달용 포장재 등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량 폭증과 이로 인한 환경과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대표적인 것이 썩는 플라스틱, 즉 생분해 플라스틱이다. 이는 미생물에 의해 기존 플라스틱보다 훨씬 빠르게 분해된다.

이처럼 코로나19 장기화로 플라스틱 폐기물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생분해하는 기술개발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업계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인 ‘360i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은 2020년 51억 달러(약 5조 6,814억 원)에서 2025년 89억 달러(약 9조 9,146억 원)로 2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허청에 따르면, 생분해 플라스틱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5년간(2016~2020) 연평균 18% 증가하여, 2016년 97건에서 2020년 190건으로 5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했다.

▲ 생분해 플라스틱 관련 출원 동향(2016~2021)

출원인 국적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 내국인은 최근 5년간(2016~2020) 꾸준히 증가세를 지속하여 2016년 78건에서 2020년 158건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외국인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19년 이후 외국인에 의한 출원은 감소 추세인 반면, 내국인에 의한 출원은 꾸준히 증가하여 대조를 이룬다.

▲ 출원인 국적별 출원 비중(2016~2021)

출원인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2016~2020), 기업에 의한 출원 비중이 68%를 차지하여 출원을 선도하고 있다. 개인(14%)과 대학(12%)의 출원 비중은 유사하며, 연구기관은 5%를 차지한다.

▲ 출원인별 출원 비중(2016~2021)

한편, 개인에 의한 출원 비중이 2019년 11.7%에서 2020년 18.9%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개인들의 높아진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출원인별 출원 동향(2016~2021)

다출원 순위는 엘지화학(24건), 삼양사(15건), 한국화학연구원(14건), 롯데케미칼(14건),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12건), 바스프(9건) 순으로 기업과 연구기관이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 다출원인 현황(2016~2020)

최근 4년간(2016~2019) 주요 출원인(다출원 1~6순위)이 사용한 생분해 플라스틱의 원료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에스테르계 47건(60.3%), 카보네이트계 16건(20.5%), 이들을 혼합한 혼합계 5건(6.4%), 기타 10건(12.8%)으로 에스테르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 주요 출원인(1~6위) 기술별 출원 현황(2016~2019)

출원인 국적별 에스테르계 출원 비중은 내국인이 51.7%인 반면, 외국인이 88.9%를 차지하여 외국 기업의 기술개발이 에스테르계에 훨씬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내국인 출원 비중도 2016년 31.3%, 2017년 53.8%, 2018년 40.0%, 2019년 71.4%로 점차 증가하고 있어, 외국 기업과 마찬가지로 우리 기업의 기술개발도 에스테르계에 집중되는 추세이다.

특허청 고분자섬유심사과 김종규 심사관은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히 증가한 플라스틱 폐기물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규제로 말미암아 친환경 플라스틱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특허권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