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 발표

▲ 올해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1,681,423명으로 전년대비 1.4%(23,750명) 증가하여 2020년의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기계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국 15,039개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2021년 말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 등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을 말한다.

동 조사는 2021년 말을 기준으로 산업별·직업별·규모별로 산업기술인력의 현원 및 부족인원, 구인, 채용, 퇴사인력 현황 등을 파악하는 정부승인 통계로, 2005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함께 실시하고 있다.

■ 산업기술인력 현원

이번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1,681,423명으로 전년대비 1.4%(23,750명) 증가하여 2020년의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전체 근로자 대비 비중은 34.0%로 5년간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연도별 산업기술인력 추이

산업별로는 제조업 산업기술인력은 1,141,216명으로 전년대비 1.3%(14,982명) 증가하고,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산업기술인력은 540,207명으로 전년대비 1.7%(8,769명) 증가했다.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은 1,115,526명으로 전년대비 1.5%(16,605명) 증가하여 전년도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전체 산업기술인력 중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비중은 66.3%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현원 비중 (단위: 명, %) *주: 12대 주력산업 전체 대비 각각의 비중

12대 주력산업 중 섬유와 조선 산업만 전년대비 감소하고, 나머지 주력산업은 모두 전년대비 증가했다. 최근 5년간 반도체,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 IT비즈니스 산업기술인력은 지속 증가한 반면, 섬유, 조선 산업은 지속 감소했다.

규모별로 보면, 산업기술인력은 중소·중견기업 및 대기업 등 모든 규모에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중소규모의 증가율이 가장 크게 발생했다. 중소규모 사업체 산업기술인력은 전년대비 1.8%(19,760명) 증가하고, 중견규모는 1.4%(1,424명), 대규모는 0.6%(2,567명) 증가했다. 전체 산업기술인력 중 300인 미만 중소사업체에서 66.0% 차지하였다.

▲ 사업체 규모별 사업체 근로자수 대비 산업기술인력 현원 및 비중 (단위: 명, %) *주: 비중=(해당 규모 산업기술인력/해당 규모 근로자)*100

지역별 산업기술인력은 수도권에 839,790명으로 전년대비 2.0%(16,200명) 증가하고, 비수도권도 전년대비 0.9%(7,550명) 증가한 841,633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산업기술인력 지역 비중은 수도권 49.9%, 비수도권 50.1%로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다시 심화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495,743명, 29.5%)가 가장 많고, 다음은 서울(257,450명, 15.3%), 경남(150,147명, 8.9%), 충남(136,203명, 8.1%), 경북(128,512명, 7.6%)의 순서로 이들 5개 지역에서 각각 10만 명 이상 분포하였다.

▲ 지역별 산업기술인력 현원 비중 *주: 비중은 전체 지역 대비 각각의 비중

산업기술인력은 장치·기계조작·조립 근로자가 54.5%(916,949명)로 과반수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관리직 5.0%(84,536명), 전문가 및 관련 근로자 35.0%(587,889명), 기능원 및 관련 기능 근로자 5.5%(92,049명)로 구성되었다. 산업기술인력 중 관리직 및 전문가 비중은 하락 추세를 지속한 반면, 장치·기계조작·조립근로자 비중은 상승 추세를 지속하였다.

▲ 직업 대분류별 산업기술인력 현원 비중 (단위: 명, %) *주: 비중은 전체 지역 대비 각각의 비중

전체 산업기술인력 중 상위 10대 직업(한국표준직업분류 세분류 기준)에서 39.4%를 차지, 전년대비 비중이 상승하여 직업집중도가 다시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 10대직업목록: 전기·전자부품및제품조립원, 전자부품및제품제조기계조작원, 금속가공기계조작원, 자동차부품조립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전자공학기술자및연구원, 금속공작기계조작원, 기계공학기술자및연구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전기공학기술자및연구원

■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

2021년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전년대비 3.3%(1,217명) 증가한 37,667명을 기록해. 양적 미스매치는 다소 심화되었다. 부족률은 2.2%로 최근 5년 동일 수준을 유지하여 양적 미스매치 안정세는 지속 유지 중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부족인원은 26,804명으로 전년대비 2.9%(750명) 증가. 부족률은 2.3%로 3년간 동일한 수준이다. 전체 부족인원의 71.2% 비중으로 3년간 하락 추세를 나타냈다.

12대 주력산업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28,709명으로 전년대비 2.3%(659명) 증가하고, 부족률은 2.5%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족인원 비중은 전체의 76.2%로 전년대비 하락했다. 12대 주력산업 부족인원 중 소프트웨어, 전자, 기계, 화학 4개 산업에서 69.5%가 집중 분포되었다.

▲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 비중 (단위: 명, %) *주: 12대 주력산업 전체 대비 각각의 비중

12대 주력산업 부족률은 2.5%로, 최근 4년 동안 동일 수준을 유지하였다. 산업별로는 소프트웨어, 바이오·헬스, 화학 산업 부족률은 3~4%대로 타 주력산업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체 부족인원 중 중소규모 사업체에서 92.0% 비중으로 대다수 발생하고, 나머지 2.6%는 중견규모에서, 5.4%는 대규모 사업체에서 발생하였다. 사업체 규모가 작아질수록 부족률도 높아, 중소기업은 산업기술인력 확보 및 조달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사업체 부족률 대비 중소규모 사업체는 7.0배, 중견규모 사업체는 2.1배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규모 사업체 내에서도 규모가 작을수록 격차가 상승하였다.

▲ 사업체 규모별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비교(대기업=1 기준)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부족인원은 23,268명으로 전년대비 20.5%(3,958명)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에는 14,399명으로 전년대비 16.0%(△2,741명) 감소하여 양극화가 발생하였다.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61.8%가 수도권 지역에 집중, 부족률은 2.7%로 비수도권(1.7%)보다 1.0%p 높은 수준이다. 부족률은 세종(4.4%), 대전(4.1%), 강원(2.9%)이 높고, 반대로 부산과 제주는 1% 미만, 충남, 전북, 전남은 1.0%로 낮아 지역 간 격차는 지속 발생하였다.

부족인원은 관리직 1.7%(632명), 전문가 및 관련 근로자 36.8%(13,853명), 기능원 및 관련 기능 근로자 4.7%(1,758명), 장치·기계조작·조립 근로자 56.9%(21,425명) 비중으로 구성되었다. 10대 직업이 전체 부족인원의 46.9% 차지, 비중은 3년간 하락 추세를 보였다.

■ 산업기술인력 퇴사인력

2021년 1년 동안 퇴사한 산업기술인력은 전년대비 0.6%(879명) 증가한 159,550명으로, 전체 현원 대비 9.5%가 퇴사하였다. 경력유무별로는 경력자는 110,506명으로 전년대비 0.4%(469명) 증가하고, 신입자는 49,044명으로 전년대비 0.8%(410명) 증가했다. 퇴사인력 중 경력자 및 신입자 비중은 3년간 동일 수준을 유지하였다.

▲ 산업기술인력 퇴사인력의 경력유무별 비중 *주: 전체 퇴사인력 중 경력유무별 각각의 비중

입사 1년 이내 퇴사인력은 전년대비 0.9%(529명) 증가한 61,652명, 조기퇴사율은 2020년의 46.4%에서 43.2%로 3.2%p의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입사 1년 이내 퇴사자 중 79.6%(49,044명)는 신입자, 나머지 20.4%(12,608명)는 경력자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경력자 비중은 지속적 상승, 신입자 비중은 하락 추세를 유지하였다.

전체 퇴사인력 중 제조업 74.1%(118,177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25.9%(41,373명), 12대 주력산업 71.0%(113,270명)로 구성되었다. 전체 입사 1년 이내 퇴사인력 중 제조업은 76.0%(46,860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은 24.0%(14,792명)이며, 12대 주력산업은 72.9%(44,960명)으로 나타났다. 조기퇴사율은 제조업이 47.0%로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34.2%) 및 12대 주력산업(42.6%)보다 높은수준이었다.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산업기술인력 퇴사율은 점차적 상승 패턴으로 나타났다. 경력자 퇴사인력 비중은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상승 패턴, 반대로 신입자 퇴사인력 비중은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상승 패턴을 보였다. 산업기술인력 조기퇴사율은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상승 패턴으로 나타났다. 특히 300인 미만 사업체 경우도 규모가 커질수록 조기퇴사율은 상승 패턴을 그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 사업체에서 56.7%(90,435명), 비수도권 사업체에서 43.3%(69,115명)로 지역간 격차가 발생하였다. 경력자 퇴사인력 비중은 비수도권에서, 신입자 퇴사인력 비중은 수도권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퇴사율은 수도권(10.8%)이 비수도권(8.2%)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울산(16.8%)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경남, 강원, 대구, 인천, 서울의 순서로 10%를 상회. 반대로 경북(1.9%)과 충남(2.1%)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2021년 1년 동안 사업체 구인인력은 전년대비 4.1%(5,888명) 증가한 150,678명을 기록했다. 증가폭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경력자는 4.6%(3,617명), 신입자는 3.4%(2,205명)로 모두 증가했다. 경력자 비중은 2018년 이후 상승 추세를 유지한 반면, 신입자 비중은 하락 추세를 유지하였다.

제조업 구인인력은 전년대비 4.8%(4,792명) 증가한 105,233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2.5%(1,096명) 증가한 45,445명을 기록했다. 12대 주력산업 구인인력은 전년대비 4.3%(4,557명) 증가한 111,299명을 기록했다. 소프트웨어(882명), 바이오·헬스(785명), 철강(608명) 산업에서 구인인력 증가를 주도하였다.

▲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구인인력 변화 *주: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구인인력 중 제조업 69.8%(105,233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30.2%(45,445명), 12대 주력산업 73.9%(111,299명)로 구성되었다. 구인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57.0%)이 제조업(53.6%) 및 12대 주력산업(53.6%)보다 높게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구인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중소규모(55.0%) 사업체가 중견규모 (50.8%) 및 대규모(54.0%) 사업체보다 크게 나타났다. 중소사업체의 경우 규모가 클수록 경력자 구인인력 비중은 하락하고 반대로 신입자 구인인력 비중은 상승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 61.1%에 해당하는 92,078명, 비수도권에서 38.9%인 58,600명으로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자 및 신입자 구인 비중 모두 수도권 지역이 비수도권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였다.

■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2021년 1년 동안 채용인력은 142,840명으로 전년대비 8.4%(11,023명) 증가하여 3년 만에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특히 증가폭은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경력자는 6,361명(9.2%), 신입자는 4,645명(7.4%)씩 모두 증가했다. 채용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상승세를 지속한 반면, 신입자 비중은 하락 추세를 유지하였다.

산업기술인력 채용률은 94.8%를 기록, 상승 추세로 반전되어 구인 미스매치는 다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인력의 큰 폭 증가로 산업기술인력 퇴사인력과 채용인력 간 격차는 그동안의 확대 추세에서 감소로 전환되었다.

제조업 채용인력은 전년대비 9.2%(8,357명) 증가한 99,603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2.6%(2,666명) 증가한 43,237명을 기록했다. 12대 주력산업 채용인력은 전년대비 8.6%(5,501명) 증가한 105,662명을 기록했다. 모든 주력산업에서 전년대비 증가한 가운데,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철강, 화학, IT비즈니스 산업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채용인력 변화 *주: 수치는 전년대비 증가율

채용인력 중 제조업 69.7%(99,603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30.3%(43,237명), 12대 주력산업 74.0%(105,662명)로 구성되었다. 채용인력 중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53.5%)이 12대 주력산업(48.7%) 및 제조업(48.6%)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채용인력 중 중소사업체의 경우 규모가 클수록 경력자 채용인력 비중은 하락, 반대로 신입자 채용인력 비중은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61.0%에 해당하는 87,150명, 비수도권에서 39.0%인 55,690명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경력·신입 채용 비중 모두 수도권이 비수도권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였다.

■ 산업기술인력 채용예상인력

2023년 산업기술인력 채용예상인력은 63,043명으로, 2022년 49,685명에 비해 26.9%(13,358명)의 큰 폭 증가에 따라, 향후 산업기술인력의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대비 경력자는 26.7%(7,586명), 신입자는 27.1%(5,772명) 증가하여 신입·경력 모두 인력 수요가 크게 확장될 전망이다.

사업체의 채용예상인력 중 경력자 및 신입자 모두 비중은 2022년 대비 동일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경력기간과 상관 없이 모든 경력자의 채용예상인력은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23년 채용예상인력 중 제조업 71.2%(44,898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28.8%(18,145명)로 구성되었다. 12대 주력산업 채용예상인력은 79.7%(50,228명) 비중을 차지한다. 경력자 비중은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65.4%)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12대 주력산업(54.7%), 제조업(53.7%)의 순서이다.

2023년 채용예상인력은 모든 규모 사업체에서 전년대비 증가한 가운데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증가율은 상승 패턴을 나타냈다. 중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규모가 커질수록 증가율은 상승 패턴이다.

채용예상인력 중 52.2%(32,923명)는 수도권 지역, 나머지 47.8%(30,120명)는 비수도권 지역에 분포되었다. 수도권 지역은 경력자 비중(58.0%)이 신입자 비중(44.5%)보다 크고, 비수도권 지역은 경력자 비중(42.0%)이 신입자 비중(55.5%)보다 작게 나타났다.

■ 산업기술인력 미충원인력

2021년 1년 동안 사업체에서 적극적 구인활동을 하였으나, 채용하지 못한 미충원인력은 14,288명으로 전년대비 9.8%(1,278명) 증가했다. 전년대비 경력자는 13.9%(∆1,343명) 감소한 반면, 신입자는 79.0%(5,828명) 증가하여 미충원 증가 모두가 신입자에게서 발생하였다.

사업체 미충원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전년의 큰 폭 상승에서 큰 폭 하락으로 반전되었다. 반대로 신입자 비중은 큰 폭 상승으로 반전되었다.

산업기술인력 미충원률은 9.5%을 기록하여 전년의 하락에서 상승으로 반전되었다. 전년대비 경력자 미충원률은 하락, 반대로 신입자 미충원률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21년 미충원인력 중 제조업 71.1%(10,154명),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28.9%(4,134명), 12대 주력산업 70.5%(10,070명)로 구성되었다. 미충원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12대 주력산업(60.5%)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제조업(59.9%),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54.2%) 순으로 나타났다.

미충원인력 중 대다수인 90.8%(12,890명)가 중소규모 사업체에서 발생, 나머지 3.6%(517명)는 중견규모에서, 5.5%(790명)는 대규모 사업체에서 발생하였다. 중소규모 사업체 내에서도 10~29인 규모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미충원률은 중소규모(10.4%)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견규모(6.1%), 대규모(4.5%)의 순서로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낮아지는 패턴을 보였다.

미충원인력의 61.1%(9,006명)가 수도권에서 발생, 나머지 38.9%(3,192명)는 비수도권에서 발생하였다. 미충원인력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로 43.3%(6,187명)의 비중 차지, 다음은 서울 14.2%(2,035명), 경남 13.2%(1,89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충원률은 수도권(9.8%)이 비수도권(9.0%)보다 소폭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3.2%), 울산(5.9%), 부산(6.1%) 등은 낮고, 반대로 제주(18.3%), 강원(13.9%), 세종(13.1%) 지역은 높게 나타났다.

■ 산업기술인력 부족 및 미충원 발생 사유

기업들은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가장 큰 발생 사유로 ’직무수행을 위한 자질·근로조건에 맞는 인력 부족‘(23.3%) 및 ’인력의 잦은 이직이나 퇴직‘(23.3%)으로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경기변동에 따른 인력의 수요 변동(20.3%), 사업체의 사업 확대로 인한 인력 수요 증가(12.3%), 해당 직무의 전공자나 경력자의 미공급(11.6%)의 순이었다.

▲ 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 발생 사유

기업들은 산업기술인력 미충원의 가장 큰 발생 사유로 ‘현장투입이 바로 가능한 숙련·경력을 갖춘 인력 부족(35.4%)’을 응답했다. 다음으로 ‘임금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아서(18.5%) 및 해당직업에 구직 지원자 수가 적어서(18.5%)’의 순서로 나타났다.

▲ 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미충원 발생 사유

결과적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됨에 따라 산업기술인력의 채용 경직상황이 2021년 들어 개선되면서 ▶산업기술인력 증가세 회복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주력산업의 지속적 인력수요 증가 ▶산업기술인력 신규수요(구인‧채용) 확대 ▶경력직 채용 선호 등의 특징을 볼 수 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