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본부장, KAIST 기계공학과 안준성 박사후연구원

[기계신문] 최근 나노 스케일의 물리·화학 센서부터 미터 스케일의 에너지 수확 소자까지, 전자 소자에 적용되는 소재 및 구조들의 형태가 점점 고도화되며 복잡한 형태로 발전해가고 있다. 그에 따라 범용성이 높은 3차원 구조체 제작 기술의 개발에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두고 있다.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전략조정본부장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신축 기판 위 2차원 나노구조체의 안정적 구현과 인쇄될 기판의 표면 마이크로 구조 설계를 통해 3차원 나노구조체를 인쇄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 다양한 형상의 기판 위에 인쇄된 3차원 나노구조체 이미지

현재 개발되고 있는 인쇄 방법 중 기계적 좌굴을 이용한 인쇄 방식은 얇은 곡면 형태의 복잡한 3차원 형상을 높은 자유도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 제작된 구조체를 원래 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차세대 인쇄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금속,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와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설계된대로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높은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이점으로 갖는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계적 좌굴 기반의 3차원 인쇄 기술은 2차원 구조체 전사 공정의 불안정성과 나노구조체 설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마이크로 스케일보다 큰 3차원 구조체만 제작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빔 리소그래피(electron beam lithography)를 이용해 2차원 형상을 구현하고 물에 녹는 접착 필름을 사용해 신축 기판 위에 3차원 구조체를 인쇄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 밀리미터 스케일 이하의 좁은 인쇄 면적, 낮은 공정 신뢰성으로 인해 보편적 인쇄 기술로 발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다양한 형상을 갖는 2차원 나노구조체를 3차원으로 인쇄한 결과물

따라서 복잡한 3차원 형상으로 설계된 나노구조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제작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차세대 3차원 인쇄 기술과 나노구조체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광학·전자·바이오 소자의 개발에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연구팀은 나노 스케일까지 안정적으로 2차원 구조체를 인쇄할 수 있는 나노전사 인쇄 기술과, 신축 기판에 가해진 압축력에 의해 좌굴된 최종 형상을 예측할 수 있는 설계 기법을 개발해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을 구현했다.

공유 결합 기반의 나노 전사 인쇄 기술은 탄성중합체 기판 위에 50 나노미터(nm) 선폭을 갖는 금속·세라믹 물질의 안정적인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 또한, 전사될 신축 기판의 마이크로 패터닝을 통해 인쇄될 물질의 선택적인 접착과 좌굴을 쉽게 하고 접합부의 형상을 제어해 기판의 국부적인 신장률을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통해 3차원 좌굴 구조체의 변형 정도(deflection), 방향성(direction), 모드(mode)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 구조체의 형상을 설계하고 예측할 수 있는 나노 스케일 인쇄 방법을 개발했다.

▲ (가)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의 설계 및 제작 개념도, (나) 인쇄 과정 순서도, (다) 인쇄된 3차원 나노구조체 어레이 이미지

최종적으로, 개발된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공정은 유독성·폭발성 가스 감지를 위한 고성능 신축 가스 센서를 제작하는데 응용됐다. 이는 나노 스케일의 무기물 물질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실제 응용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미가 크다.

KAIST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박사는 “개발된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은 나노구조체 제작 공정의 본질적인 문제인 낮은 범용성 및 디자인 다양성과 대량 생산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나노 전자 소자 제작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극한물성시스템 제조플랫폼기술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에는 KAIST 기계공학과 안준성 박사후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023년 2월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