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산학연 간담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차 산업혁명 경쟁의 원동력이 미래소재’라는 인식하에 미래사회 대응을 위해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마련 중에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이진규 1차관은 4월 16일 미래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소재분야의 산학연 전문가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미래소재란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재.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할 원천소재를 말한다.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 경쟁의 원동력이 미래소재’라는 인식하에 미래사회 대응을 위해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마련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소재·부품특별법이 제정된 2001년부터 소재 응용·개발연구에 집중 투자하여 소재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왔으나, 기초·원천연구에는 투자가 미흡하여 일부 핵심 첨단소재는 여전히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사회가 급변하고 정보통신, 환경·에너지, 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의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수요 및 건강, 안전 등 공공수요에서 요구되는 핵심 원천소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안)’의 주요내용으로, 학연의 100여명 소재 전문가 그룹은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초연결, 초고령, 지속가능 환경, 안전 등 4대 메가트렌드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미래소재의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도전형·경쟁형·지식 크라우드형 R&D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도전형 R&D 소재분야는 고위험·장기R&D임을 고려하여 ‘공공투자’를 원칙으로 하되,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업 참여를 유도하는 ‘미래가치 사전공유제’를 새롭게 도입하고, 연구자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간진입·경쟁형 R&D는 타 과제에서 수행한 우수한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연구단계 중간에 진입할 수 있는 중간진입형과 경쟁형 R&D를 도입하여 원천기술 개발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지식 크라우드형 R&D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미래소재 원천기술 난제에 대한 연구도 지원할 예정이다.

더불어 소재 개발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연구개발(미래소재 연구데이터 플랫폼)과 복합물성 특성분석 및 신뢰성 검증 지원(측정분석 플랫폼)을 위해 미래소재 연구기반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산학연 전문가들은 미래소재가 4차 산업혁명의 경쟁을 촉발할 것이고, 이에 선제적으로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대비해야 한다는 데에 깊이 공감하였다.

특히, 해외의 소재 선진국과 같이 탄탄하게 기초연구가 뒷받침되어야 신기술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한 우물 파는 연구그룹들을 육성하여 해외와 차별성 있는 미래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진규 1차관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분야와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혁신적 미래소재 기반 없이는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며, 4차 산업혁명 경쟁은 소재경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첨단 소재 핵심기술 연구는 장기간이 소요되며 성공가능성도 매우 낮으나, 개발 성공 시에는 새로운 시장 창출과 시장독점이 가능한 분야”라며 “연구자들의 시행착오 최소화로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소재연구 인프라 구축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