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는 일본기업 대체가 어려우나 불산과 폴리이미드는 일정 부분 대체가 가능할 전망이다.


[기계신문] 지난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일간 신뢰 손상을 이유로 ‘외환 및 외국무역법’에 근거하여 3개 품목을 포괄적 수출 허가 대상에서 개별심사 대상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불산(Hydrogen Fluoride, HF), 폴리이미드(Polyimide, PI)가 포괄적 수출 허가 대상에서 개별 수출 심사 대상으로 전환되었다. 한국의 품목별 일본 수입 비중은 2018년 기준 포토레지스트 93.2%, 폴리이미드 필름 84.5%, 불산 41.9% 순으로 일본 의존도가 높다.

7월 4일부터 해당 품목 수출·생산 기술 이전 시 개별 심사가 진행되며 심사는 최대 90일이 소요되어 한국기업의 소재 조달이 지연되고, 최악의 경우 일본 정부의 허가를 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한국의 일본 수출규제품목 국가별 수입 비중(2018년) * 자료 : 한국무역협회

최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는 일본기업 대체가 어려우나 불산과 폴리이미드는 일정 부분 대체가 가능할 전망이다.

포토레지스트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노광 공정에 사용되며 차세대 노광기술인 EUV(극자외선, Extreme UV)용 포토레지스트는 일본기업 대체가 어렵다. 포토레지스트는 광원의 파장 길이에 따라 KrF(불화크립톤), ArF(불화아르곤), EUV 등으로 분류되는데, 규제 대상은 EUV 포토레지스트이다.

일본의 세계 포토레지스트 점유율은 90%, EUV 포토레지스트는 일본의 독과점 구조이다. 한국의 주력제품은 KrF이며 ArF는 개발했으나 EUV 포토레지스트는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불산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세정·식각공정에 사용되며 일본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70%로 높으나 한국은 일본의 불산 수출 일시중단(2018.11) 등으로 인해 대안을 모색해왔다. 한국기업은 저순도 불산을 생산하거나 일본에서 원료를 수입하여 정제하는 구조이며 반도체에 사용되는 고순도 불산은 일본 의존도가 높다.

폴리이미드는 OLED 등에 사용되며 한국의 투자 확대로 중기적으로 대체 가능하다. 규제 대상은 불소 함량이 10% 이상인 폴리이미드로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I, CPI)와 감광성 폴리이미드(Photo Sensitive PI, PSPI)가 해당된다.

투명 폴리이미드(CPI) 필름은 폴더블 스마트폰 패널의 핵심 소재로 갤럭시 폴드는 스미토모 제품을 사용하나 한국기업이 투자를 확대하여 대체 가능할 전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양산체제를 구축, SKC와 SK이노베이션은 2019년 하반기부터 양산할 계획으로 중장기적으로 기술력이 제고될 전망이다.

감광성 폴리이미드는 OLED·반도체 절연막으로 사용되며 일본기업의 과점구조이나 국내 개발 경험, 한국 디스플레이기업과 협력 등을 통해 대체 가능할 전망이다.

▲ 일본 수출 규제 품목의 대체 가능성

일본의 수출 규제는 비메모리반도체, OLED 등 한국의 신성장산업 성장을 저해하나 기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비메모리반도체 강화방안의 핵심축인 파운드리 사업이 영향을 받으나 메모리반도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삼성전자는 EUV 기술을 도입하고 파운드리 1위 사업자인 대만 TSMC를 추격 중이나 EUV용 포토레지스트 수급 우려로 사업 확대가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JSR은 동 제품을 벨기에에서 생산하여 규제 미적용, 규제 강화 시 일본기업의 해외법인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어 삼성전자의 고객사 확대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불산은 과점구조로 증설이 쉽지 않으나 일본기업의 해외법인, 중국 등 대체 공급사를 통한 수입과 한국기업의 생산능력 확대 등으로 일부 대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사 교체시 테스트 기간이 필요하며 일본제품의 즉각적인 대체는 어려워 반도체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더블 OLED 패널에 사용되나 수입규제 영향은 제한적이다. 올해는 삼성전자 폴더블폰 출시지연(상반기→하반기) 등으로 수요가 예상보다 낮아져 보유재고로 충당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2020년 이후에는 일본외 기업으로 공급처를 다변화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 필름이 Ultra Thin Glass로 대체될 가능성도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이미혜 선임연구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는 단기적으로 반도체 공급과잉을 해소하나 규제 장기화 또는 확대 시 한국의 반도체 등 IT산업이 위협을 받을 것”이라며 “반도체 재고가 많고 기업들이 2~3개월 물량의 소재를 보유하여 일본의 수출 승인을 90일 내에 득한다면 반도체 수출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