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비·인력·시스템 등을 공유하는 제조분야 공유경제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돕고 경쟁력도 높일 수 있어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에게도 적합하다.

[기계신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공유경제 시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중국 공유경제 시장은 전년대비 41.6% 성장한 2조 9,420억 위안(한화 약 496조원)를 기록했다. 부문별 성장률은 생산력·제조(97.5%), 오피스(87.3%), 지식·기술(70.3%) 순이다.

모바일 보급 증가와 ICT 기술 발전으로 지난 3년간 중국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빠르게 확대되었다. 2018년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8억 1,700만명, 모바일 결제 사용자는 전년대비 10.7% 증가한 5억 8,339만명에 달했다.

2018년 공유경제 참여자와 관련 플랫폼 종사자 수 모두 전년대비 높은 증가세를 시현했다. 공유경제 참여자는 8.6% 증가한 7억 6천만명, 플랫폼 종사자는 7.6% 증가한 598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 제조 선도 기업들은 공유경제 플랫폼 도입이 제조 업그레이드를 위한 선택으로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래 빠른 속도로 제조업이 발전해, 세계의 공장으로 제조대국이 됐지만, 제조업이 유발하는 부가가치는 저·중 단계에 그치고 있다.

또한 임금상승, 과잉생산 등 제조업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제조업 업그레이드를 통한 효율성 제고 방안으로 생산력(제조) 공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제조업의 각 세부업종 간 설비, 기술, 데이터, 관리방식 등이 모두 달라 세분화된 업종별 공유 플랫폼 수립이 향후 생산력 공유경제 발전의 주요 추세가 될 전망이다.

▲ 생산력 공유 주요 대상

대표적인 예로, 협동형 생산력 공유기업인 셩이방(生意帮)은 고객 수요를 세분화해 각 제조 단계별로 우위를 가진 기업들과의 협력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셩이방은 23개 업종의 1만 5,000개 소규모 공장을 공유하는 협동생산 플랫폼으로 고객의 주문을 가장 작은 생산단위로 나누어 분석해 비교우위가 있는 소기업에 아웃소싱한다.

셩이방은 설립 후 1년이 되기도 전에 기업가치가 1억 위안을 넘겼고, 월 평균 성장률이 70%에 달했으며, 업종별 고객 수요의 세분화와 제조단계별 공유 플랫폼, 개방형 혁신으로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해냈다.

중국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2018년 2조 9,420억 위안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되면서 중국 공유경제 시장은 앞으로도 시장규모가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플랫폼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거나 일부 분야에서 업체 난립 및 관리 문제가 발생하면서 성장률이 정체되거나 하락할 수 있다.

공유 보조배터리, 공유 와이파이 등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는 등 시장 트렌드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업종의 공유경제 기업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부 분야에서 과잉 투자로 업체가 난립하거나 공유물품의 훼손과 남용 등 공유경제의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성장률이 정체되거나 하락할 수 있는 것은 리스크 요인이다.

공유경제 확산 초기, 공유 자전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면서 관련 업체가 난립하고 도산하면서 고장난 자전거가 아무 곳에나 방치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공유경제 육성 정책에 따라 각종 규범과 제도를 확립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적 지원으로 공유경제 시장이 확대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 최근 공유경제 주요 정책

중국 정부는 산업별 관리감독 체계를 확립하고 거래 당사자들 간의 의무와 역할을 제도화하며 표준계약서, 분쟁해결 등 관련 표준을 마련하는 한편, 공유경제 부문별 구체 목표를 확정하고 각종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조직, 자금, 인재양성 등에서 각종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공유경제를 ‘혁신 성장’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유경제는 전통산업에 비해 성장률이 훨씬 높고 유휴자원과 노동력의 활용을 통해 해당 서비스의 공급과 부가가치를 높이며 연관 산업의 수요를 확대시킬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 정귀일 연구위원은 “설비·인력·시스템 등을 공유하는 제조분야 공유경제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돕고 경쟁력도 높일 수 있어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에게도 적합하다”면서 “정부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은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 오픈 이노베이션,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계신문, 기계산업 뉴스채널

관련기사